
1. 네이버,카카오 파트너십 카이아(KAIA)코인카이아(KAIA)는 네이버의 라인 넥스트(LINE NEXT)와 카카오의 그라운드X가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탄생한 Web3 통합 프로젝트입니다. 월9일 기존 카카오의 클레이튼(Klaytn)과 LINE의 Finschia 블록체인이 합병하면서 Kaia 메인넷이 완성되어, 급등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두 국내 빅테크의 전략적 협업이라는 점에서 출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았으며, 아시아 시장에서 Web3 대중화를 본격적으로 이끌 주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토큰 심볼: KAIA기반 체인: KAIA 메인넷 (Klaytn + Finschia 통합)총 발행량: 약 60억 개현재 유통량: 약 60억 개 (2025년 6월 기준)시가총액: 약 1조 1천억원 (25.6.10..

1. 밈코인의 대표 페페코인(PEPE)페페코인(PEPE)은 2023년 밈코인 열풍을 일으키며 단기간에 시가총액 수조 원을 돌파한 대표적인 밈코인입니다. 인터넷 밈(meme) 문화에서 유래한 '페페 더 프로그(Pepe the Frog)' 캐릭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탈중앙화된 커뮤니티의 힘만으로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토큰 심볼: PEPE기반 체인: 이더리움(Ethereum, ERC-20 기반)총 발행량: 420조 개현재 유통량: 약 420조 개 (100% 유통 완료)시가총액: 약 5조 7천억 원 (2025년 6월 기준)상장 거래소: 바이낸스, 업비트, OKX, 바이빗 등 글로벌 주요 거래소 다수PEPE는 기본적으로 팀 할당, 프라이빗 세일 없이 100% 커뮤니티 중심으로 설계된 토큰입니다. ..

라그랑주 코인(la) 프로젝트 배경라그랑주 코인(LA)은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개발한 블록체인 Base 위에서 탄생한 첫 번째 토큰입니다. Base는 빠른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로 주목받는 이더리움 기반 Layer2입니다. 이런 Base에서 첫 토큰으로 등장했다는 것만으로도 상징성이 큽니다. 📌 프로젝트 배경- 핵심기술 : ZK 연산 레이어 / 외부 계산 블록체인 증명- 기반 체인 : Base (이더리움 Layer2)- 목표 : 데이터 연산과 증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구조 제공기존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그쳤다면, 라그랑주는 복잡한 계산까지 외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안전하게 블록체인에 올립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제로 지식 증명(ZK Proof)입..

💡 메티스(Metis) 코인 이더리움 확장성 위한 레이어2 플랫폼메티스 코인은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낙관적인 롤업(Optimistic Rollup) 기반 레이어2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특히 DAO, NFT, 디파이, Web3 서비스 구축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제공하며, 누구나 쉽게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는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수수료를 낮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Web2 → Web3 전환을 위한 실질적 도구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DAC(Decentralized Autonomous Company)라는 탈중앙 조직 구조를 통해 기업용 DAO 설계를 지원합니다. 메티스 코인은 폴리매틱 출신 개발진이 주도하며, 공동창립자인 엘레나 시나엘리코..

💡 2025 메타파이 신흥 강자, Virtuals Protocol(Virtuals) 완전 분석버츄얼 프로토콜은 지난 1주일 동안 약 300%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그 배경에는 웹3.0 기반 메타버스와 게임파이(GameFi) 분야에서의 주목할 만한 성과와 파트너십 확대가 있습니다.특히, 글로벌 대형 거래소 상장 및 전략적 투자자 유치 소식이 투자 심리를 크게 자극했습니다. 메타버스와 디지털 소유권이 실생활로 확장되는 가운데, Virtuals Protocol(Virtuals)은 메타파이(MetaFi)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서는 Virtuals의 개념, 기술 구조, 핵심 파트너십, 토큰 정보, 그리고 투자 포인트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버츄얼 프로토콜(VI..

실물연계자산 (RWA) 생태계 크레딧코인(CTC) 개요크레딧코인(CTC)은 실물 경제의 대출 거래와 블록체인을 연결하기 위해 탄생한 프로젝트입니다. 개발사인 글루와는 크레딧코인을 통해 신용 이력이 없는 개발도상국의 유저들에게도 글로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CTC는 대출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전통 금융의 사각지대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적 접근으로 주목받았습니다.기술적으로는 CTC 메인넷과 이더리움 체인을 함께 활용하며, 블록에 대출 요청, 상환 정보 등을 영구 기록합니다. 이 과정은 글루와 지갑을 중심으로 실행되며, 대출자와 투자자 간 거래를 블록체인 위에서 안전하게 중개합니다.총 공급량: 2,000,000,000 CTC유통..